CS 지식


2년 묵혀둔 정보처리기사 개편 이래 첫 출간된 교재를 이제서야 공부한다. 필요한가 아닌가 고민도 길었고 다른 것에도 신경을 썼으니 순서가 밀린 탓도 있다. 그런데 자격증이 원래 들어갈 땐 필요하지만 일할 때는 별 의미가 없어지는 것이고 자격을 증명한다는 의미대로 내 지식수준을 상정할 수 있는 지표가 되기에 따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참고로 한달 정도 설렁설렁 공부했는데 문제풀이 점수가 저번이랑 큰 차이가 없다... 정보처리기사 시험은 개편 이래로 22년도 3회차부터는 문제은행식으로 출제되어 공개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어디를 검색해도 22년도 2회차까지가 공개된 출제 문제이고, 기출 문제도 3개년까지만 볼 것을 권장하는 듯하다. 이전 기록은 30점이었는데 그래도 평균이 19점은 올랐다. 마지막 과..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HTTP, HTTPS, SMTP 등을 통해 XML 기반의 메시지를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프로토콜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구현 가이드라인 무상태성 GraphQL API에 사용되는 쿼리 언어, 런타임 주로 클라이언트에서 작성하고 호출함 여러번 네트워크 호출을 할 필요 없이, 한번의 네트워크 호출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음 RPC(Remote Procedure Call) 별도의 원격 제어를 위한 코딩 없이 다른 주소 공간에서 함수나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게하는 프로세스 간 통신 기술

언어마다 권장하는 표기법이 다르다는데, JAVA만 써봐서 잘 모르겠음. 카멜케이스 camelCase 낙타등처럼 생겼다고 이렇게 이름붙음. ex)변수명 또는 함수명에 자주 쓰임 스네이크케이스 snake_case 암튼 뱀처럼 생겼다고 함. 언더하이픈을 쓴다. ex)DB 테이블명이나 컬럼명 지을 때, 파일명 등 파스칼케이스 PascalCase 단어의 첫째 알파벳을 대문자로 쓴다. 두 단어 이상이 합쳐진 단어라면 저런 식으로. ex)클래스명을 지을 때 ※ DB는 스네이크 케이스를 기본적으로 쓰는데, 백(Back end)단에서 데이터를 넣어줄 변수를 카멜케이스로 쓰게 되면 일치하지 않아서 오류가 날 수 있다. @RequestParam 같은 어노테이션으로 지정해주어야 하나 싶은 생각이 드는데, 가장 맘 편한 건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