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과 답변 아카이브


조회수는 간단하게는 조회 호출 시마다 조회수 + 1을 해주는 식으로 구현된다. 중복 제한을 걸어야 하면 구글 검색을 해보면 쿠키로 게시물 번호를 굽고 중복 확인을 한다는 글이 가장 많이 보인다. 그러나 쿠키는 삭제하게 되면 조회수 중복 제한을 피할 수 있고 쿠키의 제한 갯수가 도메인당 20개 정도여서 게시물 중복을 제대로 제어하기 어렵다. DB에 조회 시에 조회 테이블에다 row를 추가하고 해당 row와 현재 페이지 접속자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조회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방법을 쓸 수 있다.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도 체크할 수 있어야 한다면, ip 수집을 게시물 번호와 함께 해서 체크하는 방법이 있겠다. 게시물 조회수가 수익과 직결되는 경우에는 중요한 로직이 되므로 이렇게 구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구조는 이랬습니다. 바뀐 구조는 이런 식으로 계층/기능 순으로 패키지가 정렬되게 된답니당...! 이렇게 나누더라도 패키지명은 이름이 알파벳 순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종종 원하는 기능을 수정하는데 헷갈리기도 해서 더 좋은 방법이 있으면 고민해볼 생각입니다. xml파일에서 태그를 이용하여 base-pakage의 경로를 하위경로까지 어노테이션을 모두 스캔해줍니다. 마이바티스 사용 시에 태그 또한 context:component-scan처럼 하위경로까지 스캔해줍니다. 그러므로 현재 위치만 스캔하고 하위 위치까지 스캔하지 않을까봐 걱정할 필요는 없음...!


파일 업로드 기능을 구현하고 수정하는 도중에 든 의문이었다. 파일 업로드는 폼을 눌러서 파일을 선택하여 등록한다. 그 상태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지를 담았으니 그것을 폼 객체에 담아야 한다. 이때 이미지를 표시하고자 하는 부분에는 data:base64 혹은 blob: 등으로 시작하는 이미지 주소가 담길 것이다. 그런 뒤에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그 뒤로는 디렉토리 상 파일 경로가 보여진다. 나는 이 과정에서 이미지를 업로드하기 전인데 이미지 경로가 나올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과 이미지가 먼저 서버파일로 등록된다면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어떻게 되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이미지 정보는 DB에서 내가 등록한 다른 정보에 대한 종속성을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에 어떤 포스트를 작성하고 ..


Q. 네이버 블로그는 조회 즉시 조회수가 올라간다, 네이버 카페는 그렇지 않았다 이러한 차이는 무엇 때문에 발생하는가? A. (요약) 카페는 기본 트래픽이 블로그 글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고 이러한 차이로 다르게 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해당 질답은 생활코딩 Q&A방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추가적인 의문 Q2. Redis Is What? http://wiki.hash.kr/index.php/%EB%A0%88%EB%94%94%EC%8A%A4 레디스 - 해시넷 레디스(Redis)는 Remote Dictionary Server의 약자로서 '키-값'(key-value) 구조의 비 관계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노에스큐엘(NoSQL)의 일종이다. 2009년 살바토르 산필리포(Salvatore Sanfilip..